본문 바로가기
경제 & 상식 정보 플러스

2025년 근로장려금 조건 및 신청방법 완벽 정리! 놓치면 손해입니다

by 비풍초똥팔삼 2025. 5. 1.
SMALL

 

2025년 근로장려금, 꼭 알아야 할 이유

 

근로장려금은 정부가 저소득 근로자, 사업자, 종교인 등을 지원하기 위해 지급하는 대표적인 국가지원금입니다.

 

2025년에도 근로장려금 제도는 계속되며, 일부 조건이 달라질 수 있어 반드시 최신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근로장려금의 지급 조건, 신청 방법, 지급 시기까지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특히 처음 신청하시는 분도 이해하기 쉽도록 용어를 풀어 설명드릴게요.

 

근로장학금

 

근로장려금이란?

 

근로장려금(Work Incentive Tax Credit)은 근로 의욕을 높이기 위해 일정 소득 이하의 가구에 현금으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쉽게 말해, "일은 하지만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을 도와주는 돈"입니다.

근로장려금은 현금으로 지급되며, 과세소득이 아니기 때문에 세금도 부과되지 않습니다.

 

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 자격

 

신청 조건은 가구 유형, 총소득, 재산 요건으로 나뉩니다.

① 가구 유형

  • 단독가구: 배우자, 부양 자녀, 부양 부모 모두 없는 경우
  • 홑벌이 가구: 배우자, 18세 미만 자녀, 70세 이상 부모 중 1명 이상 부양
  • 맞벌이 가구: 본인과 배우자 모두 소득이 있는 경우

② 총소득 요건 (2024년 귀속 기준)

  • 단독가구: 연 소득 2,400만 원 미만
  • 홑벌이 가구: 연 소득 3,800만 원 미만
  • 맞벌이 가구: 연 소득 4,000만 원 미만

※ 총소득은 근로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 포함입니다.

 

③ 재산 요건

  • 2024년 6월 1일 기준 가구의 재산 합계가 2억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 재산에는 부동산, 차량, 예금, 주식 등 모든 자산이 포함됩니다.

 

2025년 근로장려금 지급 금액은?

 

근로장려금은 최대 330만 원까지 지급될 수 있으며, 가구 유형과 소득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 단독가구: 최대 150만 원
  • 홑벌이 가구: 최대 260만 원
  • 맞벌이 가구: 최대 330만 원


지급 금액은 소득이 높을수록 줄어들고, 소득이 기준 중간에 가까울 때 가장 많습니다.

 

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 시기 및 절차

 

근로장려금 신청은 정기 신청과 반기 신청이 있습니다.

① 정기 신청

  • 신청 기간: 2025년 5월 1일 ~ 5월 31일
  • 지급 시기: 2025년 9월 예정
  • 신청 대상: 전년도(2024년) 근로소득, 사업소득 보유자

② 반기 신청

  • 상반기 소득: 2025년 9월 신청, 12월 지급
  • 하반기 소득: 2026년 3월 신청, 6월 지급
  • 대상: 근로소득만 있는 가구

반기 신청은 근로소득자만 가능하며, 사업소득자나 종교인은 정기 신청만 해당됩니다.

 

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

 

온라인/모바일/전화/방문 4가지 방식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① 홈택스 (PC)

  • 홈택스 로그인 → 근로장려금 신청 메뉴 클릭
  • 안내문 내용 확인 후 신청서 작성 및 제출

② 손택스 (모바일 앱)

  • 손택스 앱 설치 후 로그인 → 근로장려금 신청 메뉴
  • 안내문 확인 → 간편 신청

③ 전화 신청

  • ARS 번호: 1544-9944
  • 주민등록번호, 신청 코드 입력 → 자동 안내에 따라 신청 완료

④ 세무서 방문 신청

  • 가까운 세무서 민원실에서 신청 지원 가능
  • 반드시 신분증 지참

 

주의할 점 및 자주 묻는 질문

 

Q1. 근로장려금은 세금으로 차감되나요?
→ 아닙니다. 전액 현금 지급이며, 세금 차감 대상이 아닙니다.

Q2. 근로장려금은 매년 신청해야 하나요?
→ 네. 반드시 매년 신청해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Q3. 공동명의 재산도 포함되나요?
→ 포함됩니다. 가구 전체 재산 합산 기준이므로 주의하세요.

 

2025년 근로장려금

 

 

2025년 근로장려금은 저소득 가구의 실질적인 생활 지원으로 큰 도움이 됩니다.

 

 

신청 조건과 방법이 생각보다 어렵지 않으니, 정해진 기한 내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문자나 우편으로 안내문을 받았다면 90% 이상 지급 대상일 수 있으니, 꼭 내용을 확인하고 신청 절차를 진행하세요.

LIST